기타

한파특보 발령기준 간단 정리

건강 매뉴얼 365 2025. 11. 19. 20:48

겨울철에는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과 장기간 이어지는 강추위로 건강·농작물·시설물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상청은 명확한 기준에 따라 한파 특보를 발령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한파특보 발령기준을 중심으로 한파주의보와 한파경보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정리했습니다.

한파특보 발령기준 간단 정리

한파특보 발령기준의 기본 구조

한파 특보는 ‘주의보’와 ‘경보’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온의 하강 폭·절대 기온·피해 예상 여부 등을 종합해 판단합니다. 특히 아침 최저기온을 기준으로 하며, 평년 대비 온도 차 역시 중요한 판단 요소로 사용됩니다.

겨울 풍경

한파특보 발령기준 정리

한파특보 발령기준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적용됩니다. 아래 표는 한파주의보와 한파경보를 비교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 한파주의보 한파경보
기준 1
(급격한 기온 하강)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
+ 3℃ 이하
+ 평년보다 3℃ 낮을 때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
+ 3℃ 이하
+ 평년보다 3℃ 낮을 때
기준 2
(지속적인 추위)
아침 최저기온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아침 최저기온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기준 3
(피해 예상)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특보 날씨

마무리하며

한파특보 발령기준은 기온 하강 속도와 절대 온도, 그리고 피해 가능성을 반영해 운영되는 체계적인 안전 경보 시스템입니다. 주의보는 위험 상황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며, 경보는 인체·시설물·농작물 피해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경우 발령됩니다. 한파특보가 발표되면 보온 관리, 수도 시설 점검, 외출 시 체온 유지 등이 중요합니다.

한파특보 발령기준 이미지


한파주의보와 경보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경보는 기온 하강 폭이 더 크거나 절대 기온이 더 낮고, 피해 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주의보보다 한 단계 높은 위험 수준입니다.

 

한파특보는 보통 언제 발령되나요?

특보 운영 기간은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이며, 이 기간 중 위 기준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발령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오른쪽 엄지발가락 저림(원인, 감별 기준, 주의점 정리)

반응형